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계 신기록 세우며 날아오른 북 ICBM, 한국군 대응은 오히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3.29 09:27:15
조회 3357 추천 9 댓글 18

2022년3월24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발사된 뒤 솟구쳐 오르는 것으로 북한 언론이 보도한 '괴물 ICBM' 화성-17형 모습. /뉴스1

2022년3월24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발사된 뒤 솟구쳐 오르는 것으로 북한 언론이 보도한 '괴물 ICBM' 화성-17형 모습. /뉴스1



◇세계 탄도미사일 사상 가장 높은 고도 기록한 북 신형 ICBM

북한이 24일 발사에 성공한 ICBM이 ‘괴물 ICBM’ 화성-17형인지, 아니면 화성-15형(개량형)인지 논란이 있는데요, 북한은 화성-17형이라고 발표했지만 우리 군 당국에선 화성-15형을 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ICBM이 됐든 지난 24일의 북 미사일이 최대 고도 6248.5㎞까지 상승하며 거리 1090㎞를 1시간7분간 비행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팩트’입니다.

최대 고도 6248㎞는 미·러·중을 포함, 세계 탄도미사일 사상 가장 높은 고도를 기록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다른 나라들은 북한처럼 고각발사할 필요가 없긴 하지만요. 지난 2017년 화성-15형은 최대 고도 4475㎞, 비행거리 950㎞로 약 53분간 비행했습니다. 이번 ICBM이 당시보다 1773㎞를 더 올라가고, 비행거리도 140㎞ 정도 늘어난 셈입니다.


화성-17형 ICBM이 바퀴가 22개 달린 초대형 이동식 발사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뒤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화성-17형은 화성-15형보다 신속한 이동식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 /뉴스1

화성-17형 ICBM이 바퀴가 22개 달린 초대형 이동식 발사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뒤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화성-17형은 화성-15형보다 신속한 이동식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 /뉴스1


화성-17형의 최대 사거리에 대해서도 한 말씀 드리고 싶은데요, 어떤 언론은 1만3000㎞라 하고 어떤 언론은 1만5000㎞라 해서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을 듯합니다. 둘다 맞는 얘기인데요, 전문가들은 이번 ICBM이 1t 탄두일 경우 최대 사거리 1만3000㎞로 뉴욕을 포함해 미 전역을, 1t 미만으로 탄두중량을 줄일 경우 1만5000㎞ 이상으로 미 전역을 훨씬 넘겨 타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화성-17형, 이동식 발사대서 즉각 발사 능력 과시

여러분들이 김정은이라면 굳이 미 본토를 훨씬 넘겨 미사일을 날리시겠습니까? 아시다시피 북 ICBM의 주목적은 미 본토 전역 타격능력으로 미국을 위협하거나 압박하는 것이니까요. 때문에 북한은 앞으로도 ICBM의 최대 사거리는 1만3000㎞ 까지만 하고 탄두중량을 늘리는 데 주력할 가능성이 큽니다.

북한의 이동식 ICBM 기습발사 능력이 향상된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요,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영상을 보면 화성-17형의 11륜(輪)형(바퀴 22개) 초대형 이동식 발사대(TEL)에서 미사일을 수직으로 세운 뒤 곧바로 발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7년 발사한 화성-14·15형 ICBM은 이동식 발사대에서 미사일을 일으켜 세워 거치대(받침대)에 수직으로 직립시키고 이동식 발사대가 떨어져 나온 뒤 발사됐는데 이보다 발사준비 시간을 줄인 것입니다. 이는 그만큼 유사시 한미 양국군의 북 발사 원점, 즉 북 미사일 이동식 발사대 타격이 어려워졌음을 의미합니다.


화성-17형은 화성-15형 등과 달리 이동식 발사대에서 즉각적인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한미 양국군의 원점 타격이 그만큼 어려워졌다. /뉴스1
화성-17형은 화성-15형 등과 달리 이동식 발사대에서 즉각적인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한미 양국군의 원점 타격이 그만큼 어려워졌다. /뉴스1


지난 2019년11월 당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현 외교부장관)은 “북한의 ICBM은 이동식 발사대로 발사하기 어렵다”고 주장했지만 그렇지 않음을 다시 확인해준 것이지요. 미사일 전문가인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 분석 결과 미사일 발사시 화염을 이동식 발사대 반대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화염유도 장치를 붙여 이동식 발사대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했고, 발사대 안정화 장치도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1시간51분만에 대응사격, 육해공군 따로 노는 문제가...

북한이 ICBM을 쏜 뒤 우리 군은 육해공 미사일(정밀유도폭탄)을 쏘며 맞대응 무력시위에 나섰는데요, 지난 2017년 이후 5년만의 일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선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24일 북한의 화성-17형 발사(오후 2시34분) 후 1시간 51분 만인 오후 4시 25분부터 동해상에서 국산 현무-Ⅱ 지대지미사일 1발, 전술용 단거리 지대지미사일인 미국제 에이태킴스(ATACMS) 1발, 해성-Ⅱ 함대지 미사일 1발, 공대지 합동직격탄(JDAM) 2발을 발사한 뒤 “즉각적 대응·응징능력과 의지를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 합동 미사일 실사격 훈련은 북한의 도발 원점을 가상한 동해상의 표적을 향해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대응 시간은 지난 2017년 9월 화성-12형 발사 때는 6분 후, 두 달 뒤 화성-15형 발사 때는 곧바로 각각 현무-Ⅱ 등을 쏘며 대응 실사격 훈련에 나섰던 것보다 상당히 늦어진 것입니다. ‘킬 체인’은 북 미사일 탐지 후 30분내 대응을 목표로 하는 데 그보다도 훨씬 늦은 것이지요.


합동참모본부는  2022년3월2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해 동해상에서 합동 지해공 미사일 사격훈련을 실시했다. 사진은 육군 에이태킴스 지대지 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합참 제공

합동참모본부는 2022년3월2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해 동해상에서 합동 지해공 미사일 사격훈련을 실시했다. 사진은 육군 에이태킴스 지대지 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합참 제공



이에 따라 일각에서 육해공 미사일방어체계의 통합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미사일 방어 전문가인 권명국 전 공군 방공포병사령관(예비역 공군소장)은 “만약 북한이 우리 대한민국을 향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가정할 경우 1시간 51분 만에 대응하게 되면 이미 미사일이 목표지점을 타격해 국민의 재산과 생명이 파괴되고 난 다음에 공격작전을 시행한 것과 같다”며 “현재의 대응개념에 대한 실효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습니다.

◇ 육해공군 미사일 방어체계 통합 등 필요성

권 전 사령관은 “북한 미사일과 관련해 현재 탐지·추적·경보 전파는 공군이, 대응사격은 육군에서 각기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어떠한 실시간 통합작전체계도, 연동의 접점도 없다”며 “공격과 방어가 유기적으로 연동돼 있지 않고 있는 현실을 외면하고 각군 이기주의가 우선하고 있는 게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징후 포착 또는 발사시 탐지하자마자 미사일 방어 작전체계와 공격작전체계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지휘체계 일원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는데요, 현재 따로 움직이고 있는 한국군과 주한미군간 미사일 방어체계도 통합한 한·미 연합 미사일방어사령부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이번 북한 신형 ICBM의 군사기술적 의미와 한국군 대응체계 문제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앞으로도 ICBM 등 북한 핵·미사일의 진화는 중단 없이 계속될 것이므로 차기 윤석열 정부와 군 수뇌부는 문재인 정부보다 훨씬 큰 절박감과 위기의식을 갖고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입니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9

고정닉 0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560 진화하는 북 핵.미사일 위협과 국방 인공지능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2 1671 4
559 일본 육상자위대 최신 장비 등장! 2022 '후지 종합화력연습'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3022 15
558 헤엄쳐 다가온 거북이 한마리.. 적이 보낸 정찰 로봇이었다 [3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5065 25
557 말 많은 방사청장 인선 지연..K-방산 수출 대박에도 악영향?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361 2
556 전차 포신에 생수병을 올려 놓고 기동, 중국 96식 전차 성능 과시 영상 [3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2917 2
555 주일 미해병대 제 3정찰대대 낙하산 타고 해상 고공강하 침투훈련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800 5
554 소형폭탄이 하늘에서 뚝! 우크라군 공격드론으로 변신한 중국 상용 드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2715 8
553 AI·드론봇으로 무장했다... ‘아미타이거’ 전투단 출범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224 3
552 박격포, 로켓, 무인기 등 1발 요격에 4천원! 레이저 방공무기 아이언빔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683 7
551 레이건 항모·마라도함 함께 떴다… 북 겨눈 한미훈련, 오키나와서 한 이유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670 5
550 3세대 핵항모 '제럴드 R. 포드', 최신 전자식 사출장치와 강제착함장치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2031 3
549 주한미군 미사일만 400여발.. 한미, 유사시 1500발로 북한 때린다 [2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7 1824 12
548 북 핵실험 임박설속 F22 등 미 스텔스기 30여대 주일미군기지 전진배치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3 1745 8
547 게임 같은 미 육군의 첨단 야간투시경 ENVG-B 착용 시가지 전투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2 2017 2
546 실전경험 3번 가진 합참의장 지명과 한국군의 체질 변화 [4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31 3629 29
545 미사일 무장하고 종횡무진, 국산 첨단 장갑차 ‘레드백’ 베일 벗었다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30 2602 17
544 윤석열정부 첫 한미 정상회담과 진일보한 북 핵.미사일 위협 대응책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7 1190 2
543 중대장 때 무장공비 4명 잡고 무공훈장 받았던 장군 합참의장 됐다! [2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6 4774 39
542 바이든 순방 마지막날.. 중국·러시아, 한일 방공구역 침범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5 1922 11
541 바이든 방한때 뜬 '심판의 날'.. 내부 핵전쟁 지휘장비 보니 '반전'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4 2255 6
540 북한 도발 땐 미국전략자산 출동.. '북핵조준' 한미훈련 더 강력해진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3 405 3
539 한미정상회담서 '원전동맹' 선언.. 사드기지도 정상화 나선다 [6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0 1861 40
538 바이든 방한 앞두고... 한미연합사단에 최신형 아파치 헬기 대대 창설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9 1429 12
537 현실화한 북한의 전술핵 위협… ‘한국판 맨해튼 계획’이 필요하다 [3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8 2718 9
536 단 한발로 대형선박 두동강.. '족집게 폭탄'의 어뢰 뺨치는 대변신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7 1430 2
535 軍 대장급 7명 중 5~6명 이번달 물갈이 인사할 듯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2228 8
534 ROTC 모집 연기와 초급간부 경쟁률 급락 [2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4165 9
533 세계 최정상의 자주포 K9 '썬더'와 대한민국 보병전투장갑차 K21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1973 13
532 유탄발사기에서 발사되는 이스라엘 초소형 정찰 공격 드론 '니녹스 40'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2026 4
531 미사일처럼 날아 탱크 포탑 때린다..우크라이나전 등장한 러시아 첨단 지뢰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3063 10
530 북한 이번엔 SLBM 발사.. 올들어 매주 1회꼴 도발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1569 4
529 병사 봉급 200만원 공약 논란‘... 모병제 하는 일본·대만보다 높아 [12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3389 17
528 남한 겨냥한 게 아니라고? 김정은의 선제 핵공격 전략 '커밍 아웃' [5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2490 8
527 윤석열정부 ‘한미 방산 FTA’로 미국 시장 노린다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994 37
526 '킬러 드론'을 부하로 쓴다, 평택 기지에 뜬 최신형 미군 공격헬기들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2220 9
525 2분 만에 주 로터와 꼬리를 자동으로 접는 CH-53K 킹스탤리온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1979 3
524 북한판 NLAW 대전차미사일, 극초음속미사일 등 신형 무기 총동원 열병식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688 3
523 괴물 ICBM·신형 SLBM·극초음속 미사일..北, 전략무기 3종 과시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7 1378 4
522 사드 성능개량 성공과 사드 추가배치 대선공약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1630 18
521 업그레이드 된 미국 '침묵의 암살자'.. 일본·인도·대만이 사는 이유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2395 3
520 [단독] 천궁-II 탄도탄 요격미사일의 눈, 천궁-II MFR 현장 취재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1667 15
519 우크라이나, 22년전 피격 똑같이 되갚았다.. 모스크바함 침몰 영상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2952 18
518 러시아 탱크 부순 '마법의 알라봉'.. 한국군 전차는 북한로켓에 안전할까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2753 3
517 세계적 파장을 일으키며 러시아를 궁지에 몰고 있는 모스크바함 침몰 쇼크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4079 31
516 北 전술핵 미사일, ICBM보다 큰 위협… 소형핵탄두 시험할 듯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1051 4
515 북한 도발 경고! 4년 5개월만에 동해 공해상에 전개한 미 핵추진 항모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2038 20
514 국산 무기 수출, 올해 150억달러 세계 5위 목표.. 방산 FTA 시급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748 11
513 미 육군 특수부대 그린베레가 운용하는 무인전투로봇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3 2134 7
512 고체로켓 첫 발사 성공과 뉴스페이스, 그리고 우주청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452 2
511 레이저 찍히자 쾅.. 우크라 대전차 미사일, 러 최신 공격헬기 잡았다 [2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2795 1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