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울나라 바둑규칙이삼~~

어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7.03 10:35:06
조회 276 추천 0 댓글 1

◇ 한국기원 바둑규칙 ◇ <HR color=#88bbff noShade SIZE=1>back.gif

국내에서 치러지는 바둑시합은 (재)한국기원이 제정한 (한국기원 바둑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현행 한국기원 바둑규칙은 지난 1992년 1월 개정 공표된 것이다.

제1장 총칙
--------------------
제1조 바둑의 정의
바둑은 두 사람이 白과 黑의 바둑돌로 규칙에 따라 바둑판의 교차점에 교대로 착수하여 쌍방이 차지한 집이 많고 적음으로 승패를 가리는 경기이다.

제2조 바둑의 도구
1) 바둑돌
바둑돌은 바둑을 둘 때 바둑판에 올려놓는 용구로서 白과 黑 두가지가 있다. 돌 수는 白 181개, 黑 180개가 표준이다.

2) 바둑판
바둑판은 가로, 세로 각 19개의 평행선을 그린 평면으로 가로 42.5Cm 세로 45.5Cm의 나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ch-kr-1.gif

제3조 기사(棋士)
1) 기사란 바둑 두는 사람을 말하며 전문기사와 아마추어 기사로 구분된다.
전문기사는 한국기원에서 자격을 얻은 사람을 말한다. 아마추어 기사는 바둑애호가로서 그 단,급위는 재단법인 한국기원에서 인허한다.

2) 전문기사의 단위(段位)는 初단을 최저로 하고 九단을 최고로 한다.
아마추의 기사의 경우 기력(棋力)의 높낮이에 따라 단과 급으로 구별한다.

제4조 대국(對局)
1) 바둑을 두는 것을 \'대국\'이라고 한다.
2) 한국기원에서 주관하거나 인정하는 시합을 공식대국이라고 한다.
3) 기사는 평등한 조건에서 대국함을 원칙으로 한다. 아마추어는 기력의 높낮이에 따라 치수(置手)를 맞추어 둘 수 있다.

제2장 착수
--------------------
제5조 착수의 정의
ch-kr-2.gif 착수란 바둑돌을 바둑판의 교차점에 놓는 것을 말한다.

제6조 착수의 원칙
착수는 교대로 한수씩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종국시에는 착수를 포기할 수 있다.

제7조 돌의 존재
착수된 돌은 그 돌에 인접하여 빈점에 있는 한 존재하며 빈점이 없는 돌은 존재할 수 없으므로 바둑판에서 들어낸다.
ch-kr-3.gif 白돌은 인접한 선상에 빈집이 없기 때문에 바둑판에 존재할 수 없다.

제8조 착수금지
착수함으로써 빈점이 없는 곳은 둘 수 없다. 단, 따낼 수 있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ch-kr-4.gif 白은 b의 곳에 착수할 수 없다. 그러나 a에는 빈집이 있으므로 착수가 가능하다.

ch-kr-5.gif 1~2도는 따낸 시점에서 착수가 완료되어 빈점이 생기기 때문에 黑의 착수가 가능하다.  

제9조 착수의 제한
서로 상대방의 돌 하나를 번갈아 되딸 수 있는 모양을 「패」라고 한다. 패는 무한한 동형반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이 패를 따냈을 때 즉시 패를 되딸 수 없으며 다른 곳에 한번 착수한 후에야 비로소 되딸 수 있다.
ch-kr-6-1.gif 黑1로 白 한점을 따낼 수 있으며 白도 黑1을 따낼 수 있는 모양이다.

ch-kr-6-2.gif 白은 1회 이상 다른 곳에 팻감을 쓰지 않고는 a의 곳에 놓아 黑을 되딸 수 없다.

제10조 따내기
한쪽의 착수로 상대방의 돌이 제7조에 의해 바둑판에 존재할 수 없게 된 경우 상대방의 돌을 모두 따내야 한다.[참고도 6-1] 그러나 종국시 실제로 따낼 수 있음을 증명할 수있는 돌은 빈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빈점을 메우지 않고 그냥 들어낼 수 있다.
ch-kr-7.gif

1도의 白돌 두점은 종국시 그대로 들어낸다.
ch-kr-8.gif

제3장 사활(死活)
--------------------
제11조(삶)
독립된 집(제8조에 의한 착수금지구역)을 2개 이상 갖고 있거나 교대로 착수해서 2개 이상의 독립된 집을 확보할 수 있는 일련의 돌들이 살아 있다고 한다. 또, 잡혀 있는 모양을 하고는 있으니 상대방이 따낼 수 없는 돌은 살아 있는 돌이다.
[참고도 7] 1도, 2도의 白은 상대방의 착수로 들어낼 수 없으므로 살아 있는 돌이다. 3도, 4도의 白■의 돌은 살아 있다.
ch-kr-9.gif

제12조 (빅)
2곳 이상의 빈점을 사이에 두고 白과 黑이 얽힌 모양으로 어느 쪽에서 착수해도 상대방의 돌을 따낼 수 없는 상태를「빅」이라고 한다.
이런 돌은 권리가 동등하므로 서로 살아 있는 것으로 하며 이와 관계된 빈점은 집이 아니다.
ch-kr-10.gif1도, 2도, 3도는 빅이다.

제13조 (죽음)
삶을 증명할 수 없는 돌을 죽은 돌이라고 한다.
[참고도 9] 白은 黑을 따낼 수 있으나 黑의 다음 착수로 되따냄을 당할 수 밖에 없어 모두 죽은 돌이다.
ch-kr-11-1.gif

제14조 (집)
살아 있는 돌로 에워싼 빈점을 집이라고 하며 점 하나가 한집이 된다.
집 이외의 빈점을 공배라고 한다.
ch-kr-11-2.gif b한 곳은 모두 공배며 a의 곳은 모두 집.

제4장 종국(終局)
--------------------
제15조 (대국종료)
유효착수가 끝난 상태를 대국종료라고 한다.

제16조 (종국)
대국종료 후 쌍방이 가일 수 문제를 해결하면서 공배를 교대로 메운다. 공배는 한수씩 교대로 메우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쌍방이 합의하면 자유로이메일 수 있다. 공배를 다 메운 상태를 종국이라고 한다.

제17조 (계가)
종국 후 집속에 있는 상대방의 죽은 돌을 그대로 들어내어 따낸 돌과 합쳐서 이 돌을 상대방의 집에 메운 후 남아 있는 쌍방의 집의 수를 비교하는 것을 계가(計家)라고 한다.

제18조 (승패의 결정)
계가를 하여 집이 많은 쪽을 승자로 하며 집수가 같을 경우는 빅이라고 한다. 단, 덤이 있는 대국에서는 덤을 내는 쪽이 집의 합계에서 덤을 빼고 집을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승패에 관하여 한쪽의 이의가 있으면 그 자리에서 제기해야 한다.

제19조 (불계승)
대국도중 한쪽이 패배 의사를 표명하면 대국을 마칠 수 있다. 이와같이 계가까지 가지 않고 이기는 것을 불계승이라고 한다.

제20조 (무승부)
대국도중에 동일한 국면의 반복상태가 생길 경우 어느쪽도 양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 시점에서 무승부(판빅)로 한다.

제21조 (반칙)
다음과 같은 경우는 반칙으로 한다.
1. 본 규약 중 제8조,9조,10조를 위반했을 경우.
2. 한번 둔 착수를 들어내 다른 곳에 두는 행위.
단, 바둑돌이 손에서 떨어지지 않은 경우와 실수로 돌이 떨어진 경우는 착수로 인정하지 않는다.
3. 제한시간을 초과했을 경우.
4. 기타의 경우에는 부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부 칙
--------------------
제1조 부칙의 의의와 원칙
1) 대국시 생기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을 위하여 부칙을 둔다.
2) 이 부칙은 기리(棋理)에 입각하여 권리가 강한쪽을 존중하며 실전(반상)에서 해결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이 부칙에 규정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는 한국기원의 심사위원회의 판정에 따른다.

제2조 가일수
1) 마지막 공배와 가일수
ch-kr-12.gif 1도의 경우 白 3으로 수를 낼 수 있다.
2도의 경우 白2가 마지막 공배이면 白이 착수의사를 표명해야 한다. 이때 착수권은 黑에게 있다. 만약 黑이 착수를 포기하면 白이 수를 낼 수 있다.
2) 3도와 같은 경우 白이 팻감이 많으면 a에 가일수하지 않아도 된다.
ch-kr-13-1.gif4도의 경우 黑1까지만 가일수하면 된다.

ch-kr-13-2.gif
3) 4도의 경우 白이 권리가 강하므로 팻감 유무에 관계없이 黑이 a에 두어야만 한다.
4) 5도의 경우 제11조에 의해 쌍방이 착수할 의사가 없으면 빅으로 한다.

제3조 사활
1) 귀곡사
ch-kr-13-3.gif 6도의 경우 黑이 일방적으로 잡으러 갈 권리가 있으므로 팻감 유무에 관계없이 白의 죽음이다.

2) 수상전 걸린 귀곡사
ch-kr-14.gif 귀곡사를 포위하고 있는 돌이 완생이 아닌 경우(7도,8도) 실전 해설을 못한 채 종국에 이르면 白의 권리를 인정하여 黑이 죽는 것으로 한다.
3) 대궁소궁의 패
9도의 경우 白이 일방적으로 잡으러 갈 권리가 있으므로 黑이 죽는다.
4) 유가무가 3패
10도의 경우 집이 있는 黑의 일방적 권리이므로 白이 죽는다. 단, 다른 곳의 양패등의 형태가 발생하여 쌍방권리가 될 경우에는 실전해결의 원칙에 따른다.
5) 3패, 순환패의 경우 실전해결의 원칙에 따르며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으면 무승부(판빅)으로 한다.
ch-kr-15.gif 11도(3패), 12도(장생), 13도(순환패)

제4조 대국분쟁
1) 돌이 대국도중 밀렸을 경우는 원래의 곳으로 옮기고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옮길 수 없는 경우엔 쌍방이 합의하면 대국을 진행한다. 합의하지 않으면 양자패가 된다.
2) 따낼 수 없는 돌을 들어냄은 반칙이다.
3) 상대방이 반칙을 했을 경우 즉시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심판자격이 없는 제3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묵인으로 간주하고 대국을 진행한다.
4) 프로시합과 프로시합에 준하는 아마대회를 제외한 순수아마추어 대국에서는 심판의 재량에 따른다. 

자료출처/천리안 한국기원
<HR color=#88bbff noShade SIZE=1>

korea.gif ⓒ Kim Young il All rights reserved

top.gif


 
< language=>  /* 문서 하단의 태그들은 통계를 위하여 자동으로 삽입된 태그 입니다. */ </>< language=>  /* 페이지 수정시 해당 태그들을 제거 하지 않으면 해당 태그가 두번 표시되어 */ </>< language=>  /* 페이지 통계가 정확하지 않으며 페이지가 늦게 로딩될수 있으니 제거하십시요 */ </>< language=>  /* 통계를 위하여 삽입된 태그의 시작입니다. */ </>< src="http://icons.com.ne.kr/toolbar/statics/"></><>var Long_URL=document.domain; TMPdomain=Long_URL.split(".");if (TMPdomain.length==4) { ID = TMPdomain[0]; } else { ID = TMPdomain[TMPdomain.length - 4]; } document.writeln(\'visitcount.php3?ID=\'+ID+\'\')</>visitcount.php3?ID=gobaduk< src="http://log.inside.daum.net/dwi_log/js/dwi.js" type=text/ charset=euc-kr></><>  _dwiPID="+inside_statics+";  if(typeof(_dwiCatch) == "function") { _dwiCatch();}</>< language=> /* 통계를 위하여 삽입된 태그의 마지막 입니다. */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1446 조훈현의 전성기적 포스 잊었냐? [2] 낭야(121.183) 11.04.30 462 0
11445 이세돌이 이겨도 내용이 나쁘다는 이유로 폄하되는게 싫을 뿐이지 [1] 낭야(121.183) 11.04.30 135 0
11444 그리고 ㅅㅂ 막말로 역전승 많은게 자랑이냐? [1] 낭야(121.183) 11.04.30 108 0
11442 냥야 왤케 열내냐 ㅋㅋㅋ [2] 구라쩌네(124.216) 11.04.30 131 0
11441 내가 말로 통할새끼면 욕같은거 안한다 [2] 낭야(121.183) 11.04.30 88 0
11440 그리고 이세돌의 바둑은 기세바둑이 맞다 [2] 낭야(121.183) 11.04.30 275 0
11439 그리고 썩을놈이 동네기원드립치는데 [1] 낭야(121.183) 11.04.30 184 0
11438 사람말을 그따구로밖에 해석 못하지? [1] 낭야(121.183) 11.04.30 84 0
11437 이세돌 9단 무너질까봐 우려하는 나도 뜨내기고 [3] 낭야(121.183) 11.04.30 192 0
11436 여기도 결국 DC는 DC구나 [3] 낭야(121.183) 11.04.30 251 0
11435 이세돌 바둑이 위태위태 하다는놈들은 뜨내기냐 ㅋㅋ [2] ㅇㅇ(119.197) 11.04.30 250 0
11434 진짜 오랜만입니다. ㅋㅋ [8] 송해(165.194) 11.04.29 166 0
11433 '조치훈 사활대백과사전'or'사활매트릭스 3300' 있는분 계신가요? [1] 바둑바둑_*(112.144) 11.04.29 1089 0
11432 이세돌 우승cz [1] 알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9 197 0
11431 타이젬도 기사에서 개드립치네 ㅋㅋㅋ [3] ㅇㅇㅇ(14.52) 11.04.29 291 0
11430 바둑TV 무료로 실시간 볼수 있는 사이트 없나요??? [3] 바둑이(124.61) 11.04.29 732 3
11428 이세돌 키운 사부가 말하는데 이세돌 이창호 바둑의 해설을 [1] (203.130) 11.04.29 461 0
11427 이세돌이 이겼지만 구리보다 확실히 위인것 같지는않다 [1] ㅋㅋㅋ(114.202) 11.04.28 204 0
11426 이세돌구단의 비씨카드배 우승을 대축하!!!!!!!!! [1] 122(122.43) 11.04.28 134 0
11425 이세돌 우승.. 그러나 뒷맛이 찝찝한 이유.. [9] 낭야(121.183) 11.04.28 660 0
11423 [보충] 플래시 띄우실 때 다음 사이즈 참고해주세요 [1] 조부장(119.196) 11.04.28 172 0
11422 오늘 둔 재미있는 바둑 [3] 소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8 238 0
11421 명예 국수/명인/기성/왕위 [2] 10급(119.201) 11.04.27 410 0
11420 이세돌의 바둑은 아마추어의 바둑을 보는 것 같다 [8] 냥야(121.183) 11.04.27 576 0
11419 우리 이세돌선수 응원좀 하죠 [10] 122(122.43) 11.04.27 300 0
11418 스맛폰에서 타이젬 대국 가능하냐? [3] 호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7 204 0
11417 재수생인데 교육감배 대회 출전 불가능한가요? ㅠㅠ [1] ㅁㄴㅇ(211.108) 11.04.26 79 0
11416 구리가 미쳤구나 [2] 낭야(121.183) 11.04.26 406 0
11413 플래시기보 한화면에 다 안들어오는거 나만그럼? [2] ㅁ=(203.45) 11.04.26 205 0
11410 제가 둔 바둑 악수분석 부탁드려요. 플래시 기보입니다 [11] 낭야(121.183) 11.04.25 340 0
11409 돌대구리 누가 셀거가틈? [2] 낭야(121.183) 11.04.25 183 0
11408 후기 [2] 122(122.43) 11.04.25 150 0
11405 한게임에서 둔바둑인데 떡수체크좀 [16] 구라쩌네(124.216) 11.04.24 389 0
11404 플래시 띄워 기보 올리는 법 [5] 조부장(119.196) 11.04.24 459 2
11401 명인의 바둑관 팔사람 없음? [1] DDD(14.52) 11.04.24 101 0
11398 이세돌.보면 마교고수가 생각난다... [3] 리얼리즘(210.205) 11.04.23 370 0
11397 오늘 이세돌vs구리 누가 이겼어용? [3] 수고욤(119.204) 11.04.23 294 0
11396 타이젬 이용할떄 질문! [3] 10급(119.201) 11.04.23 82 0
11395 제가 둔 오프라인 대국 기보입니다. 동네바둑. [7] 조부장(119.196) 11.04.23 321 0
11392 바둑사에 대해서 좀 알고싶은데 어떤책이나 논문같은거 있나? [6] DDD(14.52) 11.04.23 167 0
11391 이세돌vs구리 [2] 바돌스(113.131) 11.04.23 281 0
11390 내일 이세돌vs구리 [1] 세돌쨔응(113.131) 11.04.23 147 0
11387 과거로 돌아가 바둑을 계속해서 [6] 피아노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2 251 0
11386 사실 [1] 122(122.43) 11.04.22 75 0
11382 갤러리와 상관 없을수도 있는데... 고민이 있어서 글올려볼게요. [6] ㅁㄴㅇㄹ(115.86) 11.04.22 163 0
11378 엠팍에 올라온 장기묘수 풀이인데 ㅇㅇ [5] yosi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1 285 0
11377 4월 한국 바둑기사 랭킹 [2] 버5르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1 267 0
11376 세계 바둑기사랭킹 [2] 버5르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21 331 0
11373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80년대 이후 바둑 랭킹 5 [5] ㅁㅁ(112.171) 11.04.20 356 0
11372 장기도사 이겨본적 있는사람? [6] ㄷㄱㄷ(59.4) 11.04.20 87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