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귀곡사

나이더스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02.02 15:56:58
조회 401 추천 0 댓글 5


<1도>
바둑룰 -수학교수 이무현씨의 주장‥‥‥‥‥‥‥‥‥‥‥‥‥‥ 2002. 5. 10. 金
영동대학교 수학교수 이무현박사가 <이무현 바둑규칙 전집>을 만들었다. 내용이 세부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가 수학자의 입장에서 바둑규칙을 합리적으로 접근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필자는 5월 9일자 중앙일보 44면에 바둑룰의 대표적인 아킬레스 건이라 할 <귀곡사>문제에 대해 그의 주장을 인용하여 기사를 썼다. 물론 귀곡사 문제는 바둑계의 해묵은 문제요, 당장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귀곡사 문제 뿐 아니라 바둑룰은 수많은 난제를 안고있다. 한국과 중국의 현행 룰과 중국룰, 그리고 잉창치(應昌期)룰이 서로 난립하고 있고 대회도 중국에 가면 중국룰, 대만에 가면 잉창치 룰이 적용된다. 이런 식으로는 서양에 대한 바둑보급이 매우 힘들 수 밖에 없다.
필자는 이무현 교수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조하지는 않는다. 다만 바둑계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룰 문제를 바둑계 외부인사라 할 이교수가 적극적으로 언급하고 나왔기에 고마움과 함께 참신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주장 중 일부를 소개한다.

<상대방이 잡을 수 있는 돌은 죽은 돌이고 상대방이 잡을 수 없는 돌은 살아있는 돌이다.> =사활에 대한 이교수의 정의,
<EMBED id=bootstrapperduoneismnet556903 height=1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1 src=http://duoneism.net/plugin/CallBack_bootstrapperSrc?nil_profile=tistory&nil_type=copied_post swLiveConnect="true" FlashVars="&callbackId=duoneismnet556903&host=http://duoneism.net&embedCodeSrc=http%3A%2F%2Fduoneism.net%2Fplugin%2FCallBack_bootstrapper%3F%26src%3Dhttp%3A%2F%2Fs1.daumcdn.net%2Fcfs.tistory%2Fv%2F0%2Fblog%2Fplugins%2FCallBack%2Fcallback%26id%3D556%26callbackId%3Dduoneismnet556903%26destDocId%3Dcallbacknestduoneismnet556903%26host%3Dhttp%3A%2F%2Fduoneism.net%26float%3Dleft" EnableContextMenu="false" wmode="transparent" ="always">이교수의 바둑룰에서 가장 핵심적인 원칙이다.
현행 바둑룰 11조에는 '삶'을 이렇게 규정하고 있다.
<독립된 집을 2개 이상 갖고 있거나 교대로 착수해서 2개 이상의 독립된 집을 확보할 수 있는 일련의 돌들을 살아있다라고 한다. 또 잡혀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나 상대방이 따낼 수 없는 돌은 살아있는 돌이다.> =한국기원 정의.
사활에 대한 이 두개의 정의는 서로 비슷한 것 같지만 당장 <귀곡사>문제만 해도 서로의 견해가 판이하게 달라진다. 이교수는 "두집이 있으면 산다."는건 바둑 학습에는 필요한 얘기지만 고차원의 사활을 정의해야 할 바둑규칙으로는 부정확하다는 것이다.
<1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EM>첨가함</EM>)
▶ 귀곡사(1도)의 예를 들어보자. 이 그림에서 흑의 모습이 귀곡사인데 흑은 죽었는가 살았는가.
이교수의 정의에 따르면 "왜 그걸 묻는가. 판위에서 해결하면 될 것 아닌가."로 낙착 된다. 잡을 수 있으면 죽은 것이고 잡을 수 없으면 살아있으니까. 따라서 이교수의 룰에 따르면, 귀곡사는 그냥 죽을 수 없다. 판 위에서 해결을 봐야한다.
▶ 현행 룰의 경우, 귀곡사는 그냥 들어내면 된다. <1도>를 다시보면 흑은 처분만 기다릴 뿐 속수무책이다. 자신의 사활에 어떤 능동적인 액션도 취할 수 없는 식물인간 격이다. 반면 백은 언제든 A로 조인 다음 패를 만들어 잡으러 갈 수 있다. 한국기원은 여기서 '권리'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흑은 아무 권리가 없지만 백은 '권리'가 있다. 고로 흑은 죽은 것이다.

일본 룰엔 권리 개념이 없지만 백이 패감을 다 없앤 뒤 잡으러가면 논리적으론 사망이니까 '귀곡사는 죽음'이라고 정해두고 있다.
▶ 귀곡사 문제가 왜 중요하냐 하면 이 하나의 문제가 일파만파로 번져 끝내는 <계가법>이라고 하는 바둑의 지극히 본질적인 문제로까지 연결되기 때문이다.
▶ 현행 룰은 귀곡사를 "죽었다"고 정했다. 그러나 막상 잡아보라고 하면 골치가 아파진다. 그냥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죽음이라고 정했으니 따르라고 한다면 할말이 없다. 하나 논리적인 사람들은 이문제를 그냥 넘어가기 어렵다. 서양인들도 물론 수긍하지 못한다.
"아직 안죽었는데 왜 죽었다고 하느냐."며 끝없이 고개를 갸웃거릴 것이다.
"패감을 다 없애고 잡으러가면 죽은 것 아니냐."
"그럼 패감을 없애봐라."
패감을 없애려면 내집을 메워야하고 그 경우 승부가 달라진다.
그렇더라도 판위에서 해결을 봐라 한다면 그렇게 못할 바도 없다. 그런데 이 패감을 없애는 과정이 보통 복잡한게 아니다. 상대도 손을 놓고 있는게 아니고 어딘가 툭 끊으면 (한집손해지만) 수많은 패감이 새로 발생하게 된다. 바둑은 다 끝났는데 이 패감을 놓고 길고긴 드잡이질을 벌여야한다.
그건 너무 복잡하지 않은가. 그러니 그냥 죽은 것으로 하자. 아무래도 흑보다는 백쪽이 '권리'가 있지 않은가.
▶ 이무현 교수는 그건 안된다는 주장이다. 판위에서 해결하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가 들고나온 것이 중국식 계산법이다.
▶ 계가법은 3개의 룰이 모두 다르다.
현행 룰은 <집 + 사석>이다. 계산하기 가장 간편하다.
중국룰은 <집 + 판위의 살아있는 돌>이다. 사석은 필요없다.
잉창치룰은 대국 전부터 180개의 돌을 똑같이 가지고 시작해서 나중에 남은 돌을 가지고 자기의 집을 메우는 방식이다. 역시 사석은 필요없다.
이 3개의 룰은 어느 쪽으로 계산해도 귀신 곡하게 반집도 틀리지 않는다. 편리만 따진다면 현행 룰이 제일 쉽다.
▶ 계가법과 귀곡사는 어떤 밀접한 관계가 있을까.
중국식 계가법으로 하면 <한집>이나 <살아있는 돌 하나>가 똑같이 한집이다.
이대목에서 바둑을 1급두는 분들조차 헷갈리는 것을 목격하곤 했다. 집의 개념에 오랜 세월 젖어 있었기에 판위의 돌 한개가 한집과 같다는 것이 뭘 의미하는지 빨리 이해가 안가는 것이다. 차라리 살아있는 돌 한개가 상대방의 사석 한개와 같은 효과라면 이해가 쉬울까.
전쟁으로 생각한다면 현행 룰이 포로를 센다면 중국 룰은 생존 병사를 센다고 보면 된다.
아무튼 중국룰은 위의 이유로 인해 자기집을 아무리 메워도 손해가 아니다. (이대목이 중요하다) 돌 한개나 한집이 같으니까 집대신 돌이 하나 올라가도 똑같은 것이다. 그러니 중국룰에선 <귀곡사>가 자연 사망이 된다. 패감을 맘대로 끝까지 없애도 손해가 아니니까 최후에 완벽히 패감을 없앤 다음 귀곡사를 패로 잡으러가면 죽는다. 논리적으로도 완벽하다.
▶ 그러나 중국룰은 공배도 집이 된다. 이것도 아주 중요한 사실이다. 공배를 메울 때 돌이 놓이게 된다. 그것도 집과 같은 효과를 낸다는 얘기는 앞서 한바와 같다. 따라서 공배메우기도 끝내기의 요령에 따라 조심스럽게 해야한다.
▶ 결국 중국룰은 합리적이지만 바둑이 길어진다는 약점이 있다. 바둑은 입문이 어려운 종목이다.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거기다 공배까지 다 메워야 바둑이 끝난다면 프로들은 몰라도 일반인들은 너무 피곤하다.
합리를 따라야 할까, 편의를 따라야 할까. 아니면 대회용 룰과 일반 룰을 나누는게 합리적일까


우리로 치면 반패는 중국식 룰로 하면 반패를 이길경우 상대가 이겼을 때와 비교하면 4집 이득. 그래서 중국사람들은 돌안던지고 좀 길게두는 경향이 있다고 하네요. (김성룡)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1569 바둑에서 첫발을 들이기 어려운 이유 [13] dd(220.121) 14.03.18 1144 1
21568 바둑 저변확대는 이게 갑임 [6] dd(220.121) 14.03.18 422 0
21564 UEC배 바둑대회 예선 젠 vs 크레이지스톤 ㅁㅁㅁ(14.39) 14.03.17 627 0
21563 왕십리 기원 절대강자가 있을 수 있음? [3] (175.223) 14.03.17 896 0
21562 2차 바갤 흑백전 87수 [3]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7 291 1
21559 도서관에 바둑책 [3] 황선희..(14.52) 14.03.17 897 0
21558 타이젬 극혐 [3] ㅂㅂ(23.227) 14.03.17 398 0
21557 2014 UEC 컴퓨터대회 (우승 Zen, 2위 Crazystone) [6] 15sec(175.200) 14.03.17 1152 1
21554 바갤 흑백전 제 86수 [6] octopus(221.163) 14.03.17 242 1
21549 좋은 바둑 어플소개함 [4] 미리내(175.223) 14.03.16 429 1
21548 손근기 vs 서능욱 승자는? [3] ㅎㅎㅎ(223.62) 14.03.16 394 0
21547 수읽기 연습하는 방법 [1] 수읽기 연습(116.124) 14.03.16 423 0
21546 손근기프로 타이젬 9단 버틸수있음? [7] ㅎㅎㅎ(223.62) 14.03.16 623 0
21545 유럽에서 만든 기력 테스트 [19]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6 661 1
21544 다시노래 전적보면 손근기 < 다시노래 인듯 [13] ㅇㅇㅇ(175.201) 14.03.16 414 0
21542 타이젬 신대국실의 가장 좆같은 점.txt [1] ㅅㅂ(175.206) 14.03.16 233 0
21541 아 저 사기급수 아닙니다 [6] 행백나무(211.179) 14.03.16 359 1
21539 다시노래 근황 [3]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6 296 0
21538 오늘 서면 교보문고에서 산 책 인증 [7]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6 603 2
21537 사활책은 답을 전부 외우는것도 좋은 방법 ertuio(175.206) 14.03.16 248 0
21536 바둑이 사망했다는증거 [3] ㅋㅋㅋ(203.248) 14.03.16 397 2
21535 바둑 조작 걸리면 산소호흡기 땔듯 [4] .(128.54) 14.03.16 250 0
21533 수읽기를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9] 볼살통통(115.95) 14.03.16 555 0
21531 이경우 흑이 어떻게 응수하나요? [7] ㄷㄷㄷ(128.54) 14.03.16 226 0
21530 타이젬 친구시스템 진심으로 쓰레기네 [2]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6 229 0
21529 김성룡 강좌 왜이러지 [1] 초심자(1.229) 14.03.16 309 0
21527 아나 타이젬 어플 밑에 잘린거 아직도 수정안해놨네 ㅁㄹ(211.117) 14.03.16 77 0
21526 근데 다시노래 개잘두네 [3] ㅂㅈㄷ(37.221) 14.03.15 299 0
21524 손근기 온라인바둑대회 1차전 [9]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5 533 3
21523 타이젬 어플 데이터 얼마나 드냐 [1] ㅁㄴㄹ(125.184) 14.03.15 189 0
21522 타이젬에서 한수하실분 .. [3] 바둑샤랑(180.224) 14.03.15 300 0
21521 되게 신기하네 이창호 사범이 저정도로 기량이 하락했을줄은 [2] ㅁㅁㅇㄹ(58.120) 14.03.15 379 1
21520 입단= 入段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ㅇㅇ(223.62) 14.03.14 266 0
21518 안녕하세요 프로기사 손근기입니다. [3] Alv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4 1355 3
21517 15살 학생입니다. [12] ㅇㅇ(211.45) 14.03.14 336 0
21516 고급행마 7단입니다. [1] 고급행마(221.155) 14.03.14 253 0
21515 아마고수들이나 프로들이 속기로 두는것은 수 읽기가 빨라서가 아닙니다.. [5] 사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4 1269 5
21514 바둑책 후기 [5] 1234(220.73) 14.03.14 979 3
21513 지금 한세실업배 명지대와 서울대 준결승보는데요.. 나눔과배려(222.238) 14.03.14 489 0
21510 이창호,유창혁 같은 애들이 좆어린 놈들한테 털리는건 뭐냐 ㅋㅋㅋㅋ [8] (119.207) 14.03.14 498 0
21505 바갤 완전 정전이네 갓컨도 안오고 [1] ㅅㅅ(175.206) 14.03.13 156 0
21503 일주일에 세번씩 각 1시간 학원다니는데 [3] ㅁㅇㄹ(203.226) 14.03.13 362 0
21502 바갤에 질문 있슴다 [3] 클린바갤(210.99) 14.03.13 227 0
21500 야... 이거 진짜 대박인데...? [1] 우아한걸(121.140) 14.03.13 293 0
21499 바둑을 전부터 꼭 배워보고 싶었는데 진입장벽이 문제더라구요 [1] ㅁㅇㄹ(203.226) 14.03.13 260 0
21498 LG배 통합예선 대진표 [2] ㅁㅁㅁ(14.39) 14.03.13 166 1
21497 강남역 바둑까페(?) 다녀왔습니다. [15]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13 1559 10
21496 타이젬 욕하는애들 모냐 [2] ㅎㅎㅎ(223.62) 14.03.13 322 0
21495 국수전 예선 결과 [5] ㅁㅁㅁ(14.39) 14.03.12 353 0
21494 알바 글 자꾸삭제하네 [1] ㅁㄴㅇㄹ(198.199) 14.03.12 12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