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TWICE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TWICE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금태섭 "부동산 규제하려면…공직자, 집 팔고 삼전 주식 사야" 00
- 대인고 협박 폭파범 경찰 조롱 ㄷㄷㄷㄷㄷ 메이드복
- 긴급) 진짜 개ㅈ됐다는 미국 경제 상황...jpg 붂붂
- 한의영상의학회 “양의사들 역겨운 직역 이기주의 그만해야” ㅇㅇ
- 싱글벙글 빨간약을 먹어버린 여초.. ㅇㅇ
- 홋카이도 다이세츠잔 쇼운코방향 몇장 ㅂㄹㅌ
- 캄보디아, 프린스은행 뱅크런 발생 도내최상위여중
- 현병이 오열.. cho성현 대령 특진 요청 현수막..news 배그린
- 이재명이 말하는.. 주식이 오르는 이유 ..jpg 3dd
- 타일러 : 대한민국 ㅈ됐다.부자들 다 런치는중 ㅇㅇ
- 이제 보험도 혜택받는다...'저출산 지원 3종' 총정리...jpg 빌애크먼
- 검사 오열 쿠팡 퇴직금 미지급 사태 정리ㄷ 마루스쿠
- 일본 대학 육상 선수들에게 가장 중요한 경기.gif ㅇㅇ
- 더불어 부동산 어벤저스 기억하는 사람? ㅇㅇ
- 제81대 총리 무라야마 도미이치 사망 닉네임정하기귀
중국인이 가장 발작하는 단어...JPG
“지나(支那)“일본명: 시나, 시나징 등지나는 원래 중국의 진나라를 산스크리트어로 음역한 명칭에서 유래하여 서양에서 중국을 부르던 명칭 중 하나였던 Sina가 일본어에서 다시 支那로 음차되며 생긴 명칭이다이 명칭은 근대 이후 일본과 조선에서 많이 쓰였는데, 주로 자기중심적인 국명인 중국(中國)이라는 이름을 고깝게 보는 사람들이 중립적인 명칭으로 많이 사용하였다그런데 왜 이 명칭에 중국인들이 발작하냐? 우선 1~2차대전 당시 중국을 상대로 일본이 사용하던 명칭이라 그렇다.일본은 당시 모든 기관에서 '중국' 대신 '지나국' '지나공화국' 등으로 불렀다.그외에도 일본이 중국을 비하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이다 등 이유는 많지만가장 큰 이유는중국인의 병신같은 중화사상 때문앞서 설명했듯 중국이라는 국명 자체가 자신들을 세계의 중심이라고 자화자찬하며 주변국을 깔보는 의도가 있는 국명중국인들은 자신들이 세상의 중심임을 중국이라는 국명을 씀으로써 전세계에 중화사상의 정당성을 인정받고 싶은건데,지나는 이 중화사상을 대놓고 밟아버리는 명칭이라 중국인들의 발작버튼이 되버리는 것사실 중국이 아편전쟁, 의화단전쟁에서 서구유럽에 쳐발려 멸망하고 식민지 된 상황에서이미 중국식 천하관은 붕괴되고 소멸되어 가루도 안남은 시점이긴 하지만서도.어쨌든그렇기에 지나 支那 라는 단어는 민감하게 받아들여 질수 밖에 없고홍콩의 독립파 정치인 의원들도 중국을 '지나'라고 부르자 중국인들이 격분했을 정도다만 일본과 한국에선 여전히"지나"명칭 지지파들이 존재하는데일본 강경 우익들은 여전히 중국을 지나(支那, シナ)라고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도적으로 비하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예전 이시하라 신타로 같은 일본의 우익 정치인 몇몇은 지나라는 표현이 단순히 Sina의 음역이고 서양에서도 여기서 유래한 China라고 부르는데 왜 '지나'에 대해서 화를 내느냐 불쾌하게 여기며지나가 중국을 비하하는 표현이 아니라 그들을 일컫는 중립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한다.또한 "중국"이란 단어는 중화사상에 기반한 자국우월주의적인 명칭이고 티베트, 위구르, 홍콩, 대만 등 중공의 패권을 정당화 하는 명칭이라고 보아 거부한다.한국도 반중감정을 가진 사람들은조선시대 역사서에서 중국을 '지나'라고 서술한 기록이 있고신채호 또한 단 한번도 중국이라 부르지 않으며 전부 지나라 불렀는데왜 굳이 중국이라고 불러야 하냐며 이젠 중국이 아닌 '지나' 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 중이지사실 일본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지나"명칭을 쓰고 있긴하다일본은 여전히 남중국해를 "남지나해"라고 부르는 중다만 南支那海 라고 쓰는 대신南シナ海로 가타카나 음차해서 표기하지만결국 '남지나해' 의미인건 동일어찌됐던 도조 히데키도"지나 챵꼬로(짱꼴라 짱깨의 어원)의 역사는 한족여성 엉덩이로 이룩한 역사다. 이민족 지배로 점철 된 역사다"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짱깨"의 어원은 본래1900년대 '짱꼬로'라 쓰였고, 이후에 '짱꼴라'로 쓰였는데,이는 일본에서 부르는 'ちゃんころ'(찬코로)를 거쳐 쓰기 시작한 것이다.'ちゃんころ'(찬코로)의 기원은,한족들이 청나라의 만주족 황제앞에서 자신을 '노재(奴才)'라 부른 것을 보고일본인들이 한족 중국인을 '청나라의 노예'라는 뜻으로'청국노淸國奴'(찬코로)라 부른 말이 조선으로 건너온 것즉 당시 일본과 합병되어, 일본국적 일본인 이었던 조선인들도 이에 영향을 받아찬코로 → 짱꼬로 → 짱꼴라 → 짱깨로 변형 되었다.다만 일본인들은 이후 중국인을"支那人(지나인, 시나징)" 이란 명칭으로 더 즐겨쓰게 된다.그러면 또"그게 무슨 소리인 칭챙총!식당금고 장궤에서 유래 된 칭챙총!"라고 하는데뉴스 라이브러리(1920년대~1990년대 기사 목록)에서"짱깨" 검색결과'짱깨' 검색결과 기록은전부 1990년대 중반 이후에서나 보이기 시작함즉 90년대에서나 파생 된 신조어였다는 것아래 1977년 기사도 짱깨가 아니라 "벗고배짱깨나 있어보이는"즉 배짱이 꽤나 있어보인다는 뜻반면"짱꼬로" 검색결과짱꼬로 검색시최소 1920~1930년대 기사들이 나오고1960~1970년대 기사들도 다수로 나온다즉 원래 "짱깨"가 아닌 "짱꼬로"를 훨씬 먼저 썼음을 알수 있고(최소 1920년대)"짱깨"란 단어는 짱꼬로에서 변형되어 1990년대 중반 이후에나 나타난 단어인 것챤코로 → 짱꼬로 → 짱꼴라 → 짱꺠로 변형 되었다결국"식당사장 금고 장궤 어쩌고"는'짱깨'가 가진 본래 의미를 희석시키려는 일종의 정신승리 거짓말이라고 볼수 있지이상이 지나의 역사성과 짱깨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는 글이었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