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임용고시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임용고시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아학 출신 프로미스가 그룹명 지킨 이유 ㅇㅇ
- 아편전쟁에서 중국군이 패한 과정...JPG ㅇㅇ
- 트럼프 원폭 발언에 일본인들 극대노.jpg ㅇㅇ
- [단독]김건희법에 수백억…식용견 15만 마리 '증발' 00
- 손흥민의 MLS 도전이 위대한 이유(세계랭킹 9위 리그) 득점
- AI가 거짓말을 줄였다? GPT-5의 '모른다' 선언.jpg ㅇㅇ
- 아하아하 아이폰에 영포티 이미지가 생긴이유 ㅇㅇ
- 오싹오싹 20년 전 대전에서 발생한 끔찍한 사망사건..jpg ㅇㅇ
- 최자가 결혼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jpg ㅇㅇ
- "더는 못 참아" 백종원, 악성 유튜버에 칼 빼들었다. ㅇㅇ
- 일본인 65%가 우려하는 생활 인프라 붕괴! 교토 「만원 버스 문제」 묘냥이
- 와들와들 요즘 여초에서 반응 핫한 외국 남자 밈.jpg ㅇㅇ
- 싱글벙글 1인분에 6만 원 한다는 기사식당 니지카엘
- 남자 재산 3억이상 찾는다는 연봉 1억 누나 소개팅 결과.....JPG 구너
- [속보] 80대 시골 할머니 HIV감염..."20년 혼자 살았는데" 미 ㅇㅇ
모닝런^^(달리기가 내게 준 선물: 삶의 기적을 만들다.)
2022년, 저는 불의의 사고로 왼쪽 중지 손가락 끝마디 위쪽 1cm가량 절단되는 비극을 겪었습니다. 절단된 순간, 밀려오는 고통보다 앞선 것은 와이프와 어린 딸, 그리고 부모님 얼굴이었습니다. 머릿속을 스치는 가족들의 모습에 미안함과 절망감이 사무쳤습니다. 사고 당일, 급히 119구급차에 실려 수지접합 전문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병원에 도착 후 다행히 병원장님께 수술을 받을 수 있었고, 엑스레이 촬영, 피검사 이후 절단된 손가락 부위를 제 손가락에 다시 접합하는 수술을 진행해주셨습니다. 수술은 잘 되었다고 말씀하시면서도, 완전 절단된 상태라 봉합된 손가락까지 혈류가 제대로 흘러 다시 붙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확률이 그리 높지 않다고 덧붙이셨습니다. 그 한 마디에 저는 큰 절망의 늪으로 빠져들었습니다. 수술 이후 입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무엇보다 그 당시 와이프에게 가장 미안했고, 당시 다섯 살 딸에게 함께 놀아주지 못하는 현실이 너무나 슬펐습니다. 차마 부모님께는 이 참담한 사고 소식을 전할 수 없어, 석 달 가까이 찾아뵙지도, 영상 통화도 하지 못한 채, 음성 통화로 안부 인사를 드려야 했습니다. "오로지 손가락이 붙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뿐이었습니다." 사고 전 저는 다이어트 시기여서 매일 퇴근 후 5km에서 10km를 꾸준히 달리고 있었습니다. 그랬기에 입원 기간이 길어질수록 답답함은 커져만 갔습니다. 그래도 마냥 누워만 있을 수는 없었습니다. 손가락 괴사를 막고 제 손끝까지 피가 통하기를 간절히 바라며, 병원 옥상에서 매일 스쿼트 500회 이상, 2만 보 이상을 걸었습니다. 약 한 달 후, 저는 여전히 손가락 마디를 연결했던 침을 꽂은 채 퇴원을 했습니다. 이후, 주 1회 통원 치료를 통해 손가락의 괴사여부를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퇴원 후 일주일이 채 지나지 않아, 저는 다시 짚앞 공원에서 천천히 달리기를 시작했습니다. 운동을 통해 활성 산소를 높이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희망 때문이었습니다. 매일 꾸준히 달리고 걷기를 반복하며, 제 마음은 점차 편안해지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뀌어 갔습니다. 때로는 달리는 도중 북받쳐 오르는 감정에 울컥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세 달이 흘렀을 때, 기적처럼 제 손가락은 완전히 봉합되었고, 그제서야 저는 절망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이 경험을 통해 저는 깨달았습니다. 만약 제가 술과 담배에 탐닉하고 운동, 특히 달리기를 열심히 하지 않았더라면, 제 손가락은 결코 봉합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그리고 지금처럼 매일 달릴 수 있는 기회조차 얻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달리기를 평생 멈출 수 없습니다. 달리기는 제 몸을 치유하고 마음을 단단하게 다져준 삶의 동반자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오늘 긴 글을 써 내려간 단 하나의 이유는, 부상이나 런태기, 또는 무더운 여름 러닝에 지쳐 포기하고 싶은 분들께 작은 용기를 드리고 싶어서였습니다. 제가 절망의 늪에서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힘은 바로 '달리기'였습니다. 제 이야기가 여러분께 위로와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 넘어질 수 있지만,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강인한 힘은 언제나 나 자신에게 있습니다. 꾸준함을 믿고 자신만의 속도로 나아가세요. 달리기 속에서 더 강해지고 삶의 희망을 찾을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오늘은 딸아이와 도자기 만들기 체험, 그리고 갯벌 체험이 예약되어 있어서 짧게 달리고 글은 길게 썼습니다. ^^ 내일 훈련일지로 찾아뵙겠습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그리고 지금은 멀쩡해요^^Own Pace, Own Race.
작성자 : 객맨고정닉
APS 입문 가이드
APS 입문 가이드 APS 필름 자체에 대해 궁금한 필붕이는 여기로 [시리즈] APS · APS 필름의 짧은 역사 서론 APS란 Advanced Photo System의 약자로 24mm 폭의 필름 포맷임 현재는 단종된 필름으로 입문하는걸 추천하지 않지만 135 필름만큼 재밌는 판형이기에 가이드글을 작성해보고자함 1. 필름 종류와 유통기한 후지 넥시아 시리즈는 2011년 (내수는 2012년 초) (APS 슬라이드인 후지크롬 100ix는 불명) 코닥 어드밴틱스 컬러와 흑백는 2011년 아그파 Futura는 2005년 코니카 JX와 Centuria는 2006년(추정)에 단종시킴 후지 넥시아 마저도 최후기 생산분이 2012년으로 유통기한이 2014년까지라고 봐야함 따라서 모든 APS 필름은 유통기한이 지난지 10년 이상임 2. 추천 필름 APS를 사용한다면 추천하는 필름은 후지 넥시아임 넥시아는 100~1000까지 감도가 다양함 넥시아 100과 200은 노출보정시 감도가 너무 낮아지기에 여름 밝은 대낮이 아니라면 사용하기 힘듦 넥시아 400은 800만큼 거칠지도 100,200처럼 감도도 낮지 않으니 가장 추천하고 싶음 넥시아 800은 그레인이 꽤 낭낭하고 고감도 썩필 특유의 화질저하가 있음 넥시아 1000은 일회용 전용 필름이지만 써본 적이 없어서 추천은 못해드림 (Nexia F100, D100 같이 이름 앞에 알파벳이 있는 필름도 존재하나 해당 내용 관련해선 정보를 찾을 수 없었음) APS 필름중 가장 좋으니 그냥 넥시아만 쓰셈 본인은 유통기한 2003년부터 2012년 써봤는데 2003년 상온도 노출 보정 시 멀쩡하게 살아있었음 상온보관 기준 추천하는 넥시아 노출 보정 값은 2003~2005 +1.5~1.7 2006~2010 +1.0~1.3 2011~ +1.0 2003년 이전은 안써보고 모름 같은 상온이라도 보관 상태에 따라 다르니 해당 값은 참고만 하길 바람 냉장의 경우 2006년 유통기한도 +1.0 하니 싱싱했음 19년 지난 넥시아도 냉장이면 싱싱하니 냉동에 후기 생산분이면 왠만하면 다 살아있을듯 그외에 코닥의 경우 2롤 밖에 안써봤지만 전부 썩어있었고 갤 작례만 보더라도 다 썩어있으니 건들이지 않는걸 추천함 아그파와 코니카의 경우 최후기 생산분도 2008년이라서 사실 기대하긴 힘든 편임 이 둘은 직접 써본적이 없어서 뭐라 말하긴 힘들지만 왠만하면 쓰지 않길 바람 3. 필름 상태창 모든 APS 필름에는 다음과 같이 상태창이 존재함 1번 동그라미는 미촬영 필름 2번 반원은 촬영 중인 필름 3번 X는 촬영이 이미 끝난 필름 4번 네모는 현상까지 완료된 필름임 상태창 같은 경우 드라이버등으로 가운데 구멍을 돌리면 강제로 옮길수 있음 3번으로 가있는 필름을 1번으로 옮겨서 이중노출 하거나 MRC 기능이 없는 필름을 꺼냈을때 다시 이어서 촬영할수 있도록 상태창을 1번 또는 2번으로 옮길때 활용할수 있음 현상소에 전용 현상기가 없는 경우 필름의 상태창이 4번으로 옮겨져있지 않은 경우가 있으나 크게 문제 없음 맘에 안들면 드라이버로 돌리거나 버리면 됨 4. 그 외 촬영 시 APS - H, APS - C, APS - P 이렇게 3가지 프레임이 존재함 각각 16:9, 3:2, 3:1 비율임 그러나 이건 스캔할때 적용되는 부분이므로 APS 전용 스캐너를 사용하지 않으면 전부 APS - H로 보임 마찬가지로 전용 스캐너가 없다면 메타데이터와 데이터백 확인 불가능함 국내 대부분의 현상소에선 확인 불가능이라고 생각하면 됨 현상된 필름은 다시 말아서 카트리지에 넣어 보관 가능함 카트리지 여는 법은 드라이버로 해야되는데 글로 설명하긴 어려우니 유튜브에 검색해보셈 카트리지에 보관한다면 이렇게 전용 기계로 사진들을 볼 수 있으나 이젠 못구하니 그냥 135필름 처럼 잘라서 보관해도 됨 그리고 잘라서 보관하는게 이후에 자가스캔하기도 편할거임 5. 필름 구하는 법 이건 별거 없음 이베이나 일옥에서 단종 썩필 구하는 거랑 똑같음 이 부분은 별 내용이 없으니 다음으로 넘어감 6. 추천 카메라 6-1 SLR 종류 캐논 IX 시리즈 특징 : 노출 보정 가능, 캐논 EF마운트 호환 EF-S 렌즈는 사용불가 니콘 프로니아 시리즈 특징 : 노출 보정 가능, 디지털 백 존재, 니콘 F마운트 호환 (AF-S 호환, G렌즈 호환 가능) (AF-P AF불가(mf 가능), E렌즈 조리개 최대개방 고정) 조리개 턱이 없어서 Non-Ai 렌즈도 사용 가능하지만 조리개 인식불가임(접점이 없는 렌즈는 전부 조리개 인식불가) 조리개 인식 안되도 쓰는덴 문제 없음 DX 렌즈 사용시 비네팅 발생하나 사용 가능 F마운트답게 난해난 호환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APS SLR중엔 캐논 IX시리즈와 함께 국밥임 그 외에 미놀타 벡티스 S 시리즈가 있지만 전용 마운트라 추천하기 어려움 싸게 나왔다면 찍먹용으로 괜찮을듯 6-2 똑딱이류 캐논 IXY 시리즈 특징 노출 보정 불가능, 매물 많음 대체로 이쁘고 매물이 많음 심지어는 동묘에서도 출현함 꽤나 컴팩트하고 후술할 Tix보다 작음 방수되는 모델도 있고 골드에디션도 있고 종류가 다양함 노출 보정이 안되는게 흠이지만 충분히 쓸만함 콘탁스 Tix 특징 : 28mm 자이스 렌즈, 티타늄바디, 선명한 뷰파인더, 야간 AF 성능, 플래시 기억 등등 현재 본인이 쓰고 있는 카메라임 사진도 내 카메라임 사실상 얘가 무적이고 APS 카메라 추천이고 뭐고 그냥 얘 사면 됨 단점이라고 할만한게 MRC 기능 미지원으로 촬영 중 필름을 갈아끼지 못한다는 것인데 어차피 다 넥시아 400만 쓸텐데 지금은 단점이 아님 그 외에 후지 티아라,에피온 등을 추천함 그러나 노출 보정이 불가능하니 국내 매물이 존재하거나 엄청나게 저렴한게 아니라면 그냥 얌전히 캐논 IX, IXY, 니콘 프로니아, 혹은 콘탁스 Tix를 추천함 7. 국내 현상소 중앙칼라 고래사진관 현상소 우성상사 망우삼림 (스캐너가 없는지 퍼포레이션까지 스캔됨) (그 외는 댓글에 남겨주면 가능한 현상소 추가함) 8. 마무리 APS 필름은 완전히 단종되어 국내에선 구하기도 어렵고 현상비도 비싸지만 특유의 매력이 있는거 같음 아직은 해외에 APS필름 매물이 많지만 점점 구하기 어려워질거니까 APS 필름이 있거나 카메라가 있다면 한번쯤 써봤으면 좋겠음 다음글이자 마지막글은 APS 필름 자리로 찾아뵙도록 하겠음 긴 글 읽어준 필붕이들 고맙고 잘못된 내용 또는 추가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셈 - dc official App
작성자 : 큐와qwas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