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백화점, 마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백화점, 마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동현이의 퍼니박스 일본 플레이 후기....jpg ®
- 전장연의 탈시설에 대하여(+김예지도 연관) 노인복지관
- “쿠팡 안 만났다”는 서영교, 쿠팡·변협 겸직 논란 알고 있었다 00
- 전신마비 보상금 10억 마음대로 쓴 가족에 분통... ㅇㅇ
- 최홍만이 여성 만나면 많이 부탁을 받는다는 것 옌우응
- 씹덕씹덕 만화가들이 편집자 싫어하는 이유......jpg ㅇㅇ
- 표독표독 미용실 다녀온 후 표독해진 골댕이 수인갤러리
- 순수 공부 8시간 이상은 불가능한 이유 개판1분전
- 산 꼭대기엔 이미, 겨울이 머물고 있었다 ㅃㄹㄹ
- 존경할 수 있는 남자....여초 반응....JPG 살아라그대는아
- 중앙대 에타 근황 ㅇㅇ
- 이영하 50-60억 요구중 ㅇㅇ
- 내가바로! 다주택자다 ㄱㅈㅅ들아ㅋㅋㅋㅋ 강남구청장 재러드쿠슈너
- 정청래 "론스타, 걍 무조건 이재명 정부 성과" 이회창
- 싱글벙글 대전에 있다는 신기한 빵택시 JuwonLee
싱글벙글 최근 자수성가한 한국의 젊은 억만장자
그 사람은 바로 화장품 회사 에이피알을 창업한 김병훈 대표. 2025년 기준 그의 재산은 13억달러로, 한국돈 1조 9000억원을 벌어들였다. 그의 나이는 이제 고작 37세. 근 10년간 자수성가형 신흥 억만장자들이 폭발적으로 등장하고있는 미국이나 영국같은 나라들과는 달리, 상속형 부자가 대부분인 한국에서는 거의 보기드문 사실상 21세기 이후 자기힘으로 억만장자가 된 최초의 케이스라고 봐도된다. 그의 인생은 연세대를 졸업한후 신촌지역 대학가 반지하에서 고기능 저자극 코스메틱 브랜드를 표방하며 에이피알 법인을 설립한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그렇다면 그가 설립한 화장품회사 에이피알(APR)은 훗날 어떤 제품들을 개발했을까. 1.메디큐브 스킨케어라인 '제로모공패드'와 '딥 비타 C패드' 등으로 알려진 기초 화장품브랜드 메디큐브 2.에이프릴스킨 당근과 카렌둘라 등의 원료를 기반으로 고기능 저자극 자연주의를 표방하는 화장품 브랜드. 현 20대~30대에게는 쿠션으로 유명하며, 현재는 클렌징 밤, 필 오프 팩 등의 제품이 잘 팔리고 있다. 3.포맨트 향수나 바디워시 등 향을 무기로 하는 브랜드. 올리브영에서 주로 구매 가능하며 올리브영 연매출 100억 이상 브랜드에 최근 가입했다. 4.메디큐브 에이지알 2020년대 에이피알의 성장을 견인한 메디큐브 산하의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2022년 8월에 출시한 부스터힐러와 2023년 10월에 출시한 부스터프로 제품이 대표적이며 에이피알팩토리를 통해 직접 생산하고 있다. 2025년까지 무려 글로벌 누적 300만대 판매를 돌파한 가운데 해외 매출 비중이 절반을 넘을정도로 잘나가고있다. 최근 에이피알은 운동과 식단, 복용시간 등을 알려주는 다이어트 앱인 글램디어터라는 헬스케어 앱도 출시했다. 에이피알은 설립된지 이제 10년 조금 더 넘은 신생 뷰티기업이지만 시가총액은 결코 무시할수없다. 현재 에이피알의 시가총액은 8조원을 넘었으며 이는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제치고 대한민국 화장품회사 1위인 수준. 참고로 글로벌 1위 뷰티기업은 프랑스의 로레알이며, 현재 시가총액은 2175억달러, 한화 319조원에 달한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싱글벙글 압축도시 feat.이웃나라
*압축도시(컴팩트 시티)란? 도시 확산을 억제하고 주거, 직장, 상업 등 도시 기능을 중심부에 밀집시켜 개발하는 도시 계획. 얼마 전 kbs 시사기획 창에서 지역 소멸 극복 방안 방송을 한 적 있음. (2025.10.28.)그중 인상 깊은 파트(이웃나라)가 있어서 가져와 봄. 인트로 무섭ㄷㄷ 우리보다 먼저 지역 소멸을 겪은 일본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소개하고 있음.참고로 일본도 초기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음.이웃한 지자체끼리 유입 인구 쟁탈전을 벌이기도 하고, 무작정 보조금을 퍼주는 정책을 펼치기도 하는 등..그중 나름 지금까지 성공한 사례인 압축도시전략(컴팩트 시티)을 소개함.*압축도시전략 간략 소개위와 같이 지역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가구를▽이렇게 철도역, 터미널 부근으로 거주 유도를 함.강제 이주가 아닌, 택지 정비라든지 주택 구입을 보조해 주는 방식으로,실제 흩어져 살고 있는 가구는 대부분 고령층이 많으므로 '장기적'으로 어르고 달래며 이주 유도를 해야 한다고.. 또 압축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대책으로 세 가지 주된 전략도 소개하고 있음.늘어날 인구에 대비해1. 공공교통 활성화2. 공공교통 연결 지역에 거주 지역 집중화3. 중심 시가지 활성화단순히 철도역 부근으로 몰아넣는 게 아닌시민들의 실제 편의성과 도시 기능(문화, 교류 등)을 갖추며 이주 유도를 하고 있음.도야마시라는 사례가 나오는데노면 전차 도입 및 높은 이용률.시민들도 만족하고 있는 듯?뿐만 아니라 매력 있는 문화 콘텐츠 정책도 펼치고 있음.세계적인 유리공예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접근성 좋은 미술관도 개관.지난해에만 무려 28만 명이 방문객으로 다녀갔다고..! (도야마시 인구는 40만 명) 도야마시의 장기적인 압축도시 전략으로 중심지 인구가 28% -> 42% 상승하게 됨!그만큼 중심지 위주 정책에 집중할 수 있게 됐음..!이런 사례를 접한 우리나라도 현재 컴팩트 시티라고 비슷한 정책을 펼치는 등 많은 노력 중이라고 함!p.s.다만 압축도시가 지역 소멸의 만능 해결 방안은 아님! (실제 도야마시 총 인구는 감소)지역 소멸을 늦추거나 최소한 막아보자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함.근본적인 대책을 찾기 위해 우리나라도 이웃나라인 일본도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고..!*본방 다시보기:https://youtu.be/EkL6B7xch8c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