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배달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배달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돌반지 때문에 이혼하게 생겼네요 ㅇㅇ
- 대호신 wRC 전혀 모르시던 장면ㅋㅋㅋㅋ.jpg 희망고문인
- "대중이랑 기 싸움 하냐"…W코리아 ㅇㅇ
- 싱글벙글 일본에서 태어나서 자란 흑누나의 메이크업 ㅇㅇ
- AI로 엄마한테 집에 너구리 들어왔다고 속이기 ㅇㅇ
- [단독] 한판 붙은 IT 기업들… 토스 “카카오가 업무 방해해 고소” 마루스쿠
- 캄보디아가 무법지대가 된 이유.jpg 네거티장애
- 군침군침 몇 없다는 한국인 치즈 장인 수인갤러리
- 한의영상의학회 “양의사들 역겨운 직역 이기주의 그만해야” ㅇㅇ
- (여시) 미국 주식 ETF 투자 입문 꿀팁 ㅇㅇ
- 남자랑 원룸에서 시작해도 좋다는 176cm 미녀 모델 ㅇㅇ
-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 결국 철거… 15분도 안 걸렸다 ocrazyo
- 난 cs 업무하는데 좃소 다녀서 오히려 다행이라고 생각.jpg 뉴포카
- 챗GPT로 법리 검토하다 허위 사실 기재한 경찰 사탄냥이
- 요즘 해외에서 화제인 한국 풍경 ㅇㅇ
중국인이 가장 발작하는 단어...JPG
“지나(支那)“일본명: 시나, 시나징 등지나는 원래 중국의 진나라를 산스크리트어로 음역한 명칭에서 유래하여 서양에서 중국을 부르던 명칭 중 하나였던 Sina가 일본어에서 다시 支那로 음차되며 생긴 명칭이다이 명칭은 근대 이후 일본과 조선에서 많이 쓰였는데, 주로 자기중심적인 국명인 중국(中國)이라는 이름을 고깝게 보는 사람들이 중립적인 명칭으로 많이 사용하였다그런데 왜 이 명칭에 중국인들이 발작하냐? 우선 1~2차대전 당시 중국을 상대로 일본이 사용하던 명칭이라 그렇다.일본은 당시 모든 기관에서 '중국' 대신 '지나국' '지나공화국' 등으로 불렀다.그외에도 일본이 중국을 비하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이다 등 이유는 많지만가장 큰 이유는중국인의 병신같은 중화사상 때문앞서 설명했듯 중국이라는 국명 자체가 자신들을 세계의 중심이라고 자화자찬하며 주변국을 깔보는 의도가 있는 국명중국인들은 자신들이 세상의 중심임을 중국이라는 국명을 씀으로써 전세계에 중화사상의 정당성을 인정받고 싶은건데,지나는 이 중화사상을 대놓고 밟아버리는 명칭이라 중국인들의 발작버튼이 되버리는 것사실 중국이 아편전쟁, 의화단전쟁에서 서구유럽에 쳐발려 멸망하고 식민지 된 상황에서이미 중국식 천하관은 붕괴되고 소멸되어 가루도 안남은 시점이긴 하지만서도.어쨌든그렇기에 지나 支那 라는 단어는 민감하게 받아들여 질수 밖에 없고홍콩의 독립파 정치인 의원들도 중국을 '지나'라고 부르자 중국인들이 격분했을 정도다만 일본과 한국에선 여전히"지나"명칭 지지파들이 존재하는데일본 강경 우익들은 여전히 중국을 지나(支那, シナ)라고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도적으로 비하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예전 이시하라 신타로 같은 일본의 우익 정치인 몇몇은 지나라는 표현이 단순히 Sina의 음역이고 서양에서도 여기서 유래한 China라고 부르는데 왜 '지나'에 대해서 화를 내느냐 불쾌하게 여기며지나가 중국을 비하하는 표현이 아니라 그들을 일컫는 중립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한다.또한 "중국"이란 단어는 중화사상에 기반한 자국우월주의적인 명칭이고 티베트, 위구르, 홍콩, 대만 등 중공의 패권을 정당화 하는 명칭이라고 보아 거부한다.한국도 반중감정을 가진 사람들은조선시대 역사서에서 중국을 '지나'라고 서술한 기록이 있고신채호 또한 단 한번도 중국이라 부르지 않으며 전부 지나라 불렀는데왜 굳이 중국이라고 불러야 하냐며 이젠 중국이 아닌 '지나' 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 중이지사실 일본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지나"명칭을 쓰고 있긴하다일본은 여전히 남중국해를 "남지나해"라고 부르는 중다만 南支那海 라고 쓰는 대신南シナ海로 가타카나 음차해서 표기하지만결국 '남지나해' 의미인건 동일어찌됐던 도조 히데키도"지나 챵꼬로(짱꼴라 짱깨의 어원)의 역사는 한족여성 엉덩이로 이룩한 역사다. 이민족 지배로 점철 된 역사다"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짱깨"의 어원은 본래1900년대 '짱꼬로'라 쓰였고, 이후에 '짱꼴라'로 쓰였는데,이는 일본에서 부르는 'ちゃんころ'(찬코로)를 거쳐 쓰기 시작한 것이다.'ちゃんころ'(찬코로)의 기원은,한족들이 청나라의 만주족 황제앞에서 자신을 '노재(奴才)'라 부른 것을 보고일본인들이 한족 중국인을 '청나라의 노예'라는 뜻으로'청국노淸國奴'(찬코로)라 부른 말이 조선으로 건너온 것즉 당시 일본과 합병되어, 일본국적 일본인 이었던 조선인들도 이에 영향을 받아찬코로 → 짱꼬로 → 짱꼴라 → 짱깨로 변형 되었다.다만 일본인들은 이후 중국인을"支那人(지나인, 시나징)" 이란 명칭으로 더 즐겨쓰게 된다.그러면 또"그게 무슨 소리인 칭챙총!식당금고 장궤에서 유래 된 칭챙총!"라고 하는데뉴스 라이브러리(1920년대~1990년대 기사 목록)에서"짱깨" 검색결과'짱깨' 검색결과 기록은전부 1990년대 중반 이후에서나 보이기 시작함즉 90년대에서나 파생 된 신조어였다는 것아래 1977년 기사도 짱깨가 아니라 "벗고배짱깨나 있어보이는"즉 배짱이 꽤나 있어보인다는 뜻반면"짱꼬로" 검색결과짱꼬로 검색시최소 1920~1930년대 기사들이 나오고1960~1970년대 기사들도 다수로 나온다즉 원래 "짱깨"가 아닌 "짱꼬로"를 훨씬 먼저 썼음을 알수 있고(최소 1920년대)"짱깨"란 단어는 짱꼬로에서 변형되어 1990년대 중반 이후에나 나타난 단어인 것챤코로 → 짱꼬로 → 짱꼴라 → 짱꺠로 변형 되었다결국"식당사장 금고 장궤 어쩌고"는'짱깨'가 가진 본래 의미를 희석시키려는 일종의 정신승리 거짓말이라고 볼수 있지이상이 지나의 역사성과 짱깨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는 글이었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이제 보험도 혜택받는다...'저출산 지원 3종' 총정리...jpg
금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내년부터 출산 가정들에게 보험료 혜택을 주는 정책이 시행된다면서요?내년 4월부터 출산과 육아휴직 가정에 보험료를 할인하거나 납입을 유예해 주는 저출산 지원 3종 세트가 도입되게 됩니다.정부와 보험업계가 함께 마련한 제도로 출산과 육아 시기에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입니다.먼저 어린이 보험료 할인 제도부터 보면, 출산을 하거나 육아 휴직을 한 부모라면 최소 1년 이상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고 할인율과 기간은 보험사마다 자율적으로 정합니다.다만 출산으로 인한 할인은 형제, 자매 출산일 때만 적용되는데요.예를 들어 둘째를 낳으면 첫째의 어린이보험료는 깎아주지만, 이번에 태어난 둘째의 보험은 해당이 안 됩니다.반면 육아휴직을 한 경우에는 모든 자녀의 보험료가 할인 대상이 됩니다.두 번째는 보험료 납입 유예제도입니다.출산이나 육아휴직으로 소득이 줄면 보험료 납부를 6개월 또는 1년간 미룰 수 있고, 그 기간에는 이자가 붙지 않습니다.이건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을 포함한 모든 보장성 상품에 적용됩니다.마지막으로는 보험계약대출 상환 유예제도입니다.보험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계약자가 출산이나 육아휴직을 하면 최대 1년까지 상환을 미룰 수 있고, 연체이자도 없습니다.이 세 가지 제도는 출산이나 육아휴직 후 1년 안에 신청하면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보험사들은 기존 가입자도 신청만 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특약을 일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즉, 새로 가입하지 않아도 이미 가입된 보험에서도 신청만 하면 바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다.어린이 보험료 깎아주는 것 빼면 나머지는 내야 할 돈을 좀 늦게 내게 해주겠다는 건데 이게 그렇게 큰 도움이 될까요?정부는 이번 제도로 출산 육아 가정에 연 1천200억 원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이건 단순히 보험료 할인만이 아니라, 납입 유예나 대출 상환 유예까지 모두 포함한 수치입니다.무엇보다 출산 직후, 병원비나 육아 용품비 등 지출이 몰리는 시기에 보험료 납부를 미루거나 상환을 늦출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현실적인 도움이 될 걸로 보입니다.실제로 아이를 낳고 육아휴직에 들어가면 한동안 소득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죠.이럴 때 보험료가 계속 빠져나가면 중도 해지나 연체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았습니다.이번 제도는 그런 부담을 덜어주게 되는 거고요.또 이번 제도는 보험이 단순히 위험을 보장하는 상품을 넘어서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금융 제도로 발전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보험업계에서도 '출산 친화적 기업' 이미지를 높이고, 고객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지각 변동이 예고된다. 이게 무슨 얘기인가요?세계 1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국내 5위 거래소인 고팍스를 인수하게 되는데요.국내 가상자산 시장 지각 변동이 예고되고 있습니다.금융위원회 금융정보 분석원 즉, FIU가 어제(16일) 고팍스의 대주주를 바이낸스로 인정하는 임원 변경 신고를 수리하면서 인수가 공식적으로 완료된 겁니다.바이낸스는 지난 2023년 고팍스 지분 67%를 인수하며 한국 진출을 추진했지만, 당시 미국에서 제기된 자금세탁방지 위반 사건으로 국내 금융당국의 심사가 길어졌습니다.이후 바이낸스가 약 43억 달러, 우리 돈으로 6조 원 넘는 벌금을 내고 해외 규제 문제를 마무리하면서 국내에서도 인수가 최종 승인된 겁니다.이번 인수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구도 변화도 예상됩니다.현재 시장은 '업비트-빗썸' 양강 체제잖아요.바이낸스는 전 세계 이용자 수 1억 명, 하루 평균 거래 규모만 36조 원에 달하는 글로벌 1위 사업자입니다.업계에서는 "바이낸스의 자본력과 기술력이 고팍스 시스템 개선으로 이어지면 국내 시장 경쟁 구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